최근 인공지능 프로젝트에서 부족한 용량을 메꾸기 위해 onedrive 학교계정을 사용하기로 했다. 학교계정은 1TB라서 컴퓨터 용량을 차지하지 않고 여기다가 데이터를 다운받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어느날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던 중 남은 용량이 (336GB/1TB)라는 것을 보았다... 처음엔 잘못본건줄 알았는데 진짜였다. 처음에 시스템데이터가 뭔지 몰라서 구글링 해보니까 라이브러리 캐시를 지워라 로그를 지워라 TimeMachine 백업을 삭제해라 등등 많은 조언들이 있었지만 전부 나에게는 해당되지 않았다.. 그래서 포맷을 해야하나.. 산지 2달밖에 안된 맥북을.. 이러고 있었는데 사용자 폴더가 1.56TB로 표기된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래서 숨긴 파일들을 다 확인해보니 lsm99파일 밑에 ..
오류 내용 Execution failed for task ':DemoApplication.main()'. > Process 'command '/Library/Java/JavaVirtualMachines/jdk-17.jdk/Contents/Home/bin/java'' finished with non-zero exit value 1 intellij Settings -> gradle 검색했을 때 초기화면 Build and run using: Gradle Run tests using: Gradle 에서 둘다 Intellij IDEA로 바꿔준다.
소스트리에서 푸시가 되지 않는다. 1. 깃허브 Settings 2. Developer settings 3. Generate 토큰 or 기존의 토큰 확인 4. 소스트리에서 계정... -> 추가... 5. 사용자 이름 작성, 프로토콜: HTTPS, Personal Access Token에 토큰 값 붙여넣고 저장 이렇게 하면 모든 레파지토리(소스트리 전체)에 대해 Push 권한이 부여됨
1. logt입력 후 자동완성 -> TAG 생성 2. Log.d(TAG, message) 3. Logcat창에 다음과 같이 입력
Java 파일 내에서 사용 1. build.gradle(:app)에 다음 코드 추가 Properties properties = new Properties() properties.load(project.rootProject.file('local.properties').newDataInputStream()) android { ... buildFeatures { buildConfig = true } defaultConfig { ... buildConfigField "String", "API_KEY", properties['api_key'] } ... } 2. local.properties에 다음 코드 추가 api_key = "your_api_key" 3. .gitignore에 local.properties 추..
Unresolved reference: BR 오류를 해결하려고 인터넷을 뒤적거렸는데 결국 해결하지 못했다. 그러다가 문득 개발 환경설정이 제대로 되어있는지 확인해봤는데 내가 사용하고 있는 Gradle JDK 버전은 17이었다. 그리고나서 build.gradle (:app) 파일의 코드를 살펴봤더니 compileOptions { sourceCompatibility JavaVersion.VERSION_1_8 targetCompatibility JavaVersion.VERSION_1_8 } kotlinOptions { jvmTarget = '1.8' } Java버전이랑 Kotlin의 JVM 버전이 1.8로 설정되어 있었다... compileOptions { sourceCompatibility JavaVersi..